El Condor pasa
* * * 태양신에게 바치는 노래 * * *
폴크로레(FOLKLORE)는 스페인어로 민간전승, 민속학, 민족 음악을 의미한다. 영어로는 포크(Folk)에 해당하는 말로, 남미에서는 순수한 민족 음악뿐만 아니라 그것에 기인한 모든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폴크로레란 안데스 산맥 지방의 민족 음악을 의미한다. 안데스 산맥은 남미 대륙의 서부를 종단하고 있으며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칠레, 아르헨티나 등의 나라가 국경을 나누어 갖고있다.
대게 폴크로레라고하면 이들 나라의 노래를 가리킨다.
폴크로레는 단순히 전통을 현대화시킨게 아니라 문화의 용광로(쿠바의 밀롱가와 아바네라로부터 카톨릭 미사, 이베리아의 무곡까지)에서 자연스럽게 발화된 것과 과거와 현재의 혼재로 인해 보편적 음악언어로 소통된다고 볼 수 있다.

잉카 음악(「잉카」는 케추아어로 "태양의 아들"이란 뜻이다.)
아득히 먼 옛날 유럽사람들이 그 존재를 알기 오래 전부터 아메리카 대륙은 아메리칸 원주민이 살던 땅이었다. 그들은 독자적인 문명 사회를 구축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생명을 존중하면서 살아왔다.
우리가 알고있는 「잉카문명」은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잉카제국 이전에도 많은 문명들이 존재했으나 그들 문명과 잉카제국은 문자가 없었던 관계로 그들의 생활양식 따위에 관한 것들은 단정할 수는 없고, 단지 그들의 유물과 "잉카제국"을 정복한 스페인 사람들의 기록과 잔해만 남은 "마추피추"의 유적에서 그들의 화려한 문명을 짐작할 뿐이다.
잉카가 대제국으로 존재했던 기간은 1세기 남짓한데 1430년대까지는 "쿠스코"계곡을 통치하던 지방왕국에 불과했지만 그 이후 정복을 거듭하다 안데스 지역에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1532년말 황금을 찾아 스페인에서 온 정복자 "프란시스코 피사로"에 의해 이 "잉카제국"의 마지막 왕인 "아타왈빠" 왕은 화형선고를 받지만 화형대신 목이 잘린다는 조건으로 카톨릭으로 개종하고 처형당함으로써 이 「잉카제국」은 종말을 맡게 된다. (잉카인들에게는 내세라는 것이 존재했기 때문에 육체가 없어지는 화장에 대해 극도의 공포를 가지고 있었다.)
날아라 날아라 콘도르여 고원의 하늘을 고원의 그림자 아메리카 인디오 정신의 상징
♬ 인디오 민족의 피여 잉카제국은 배신당하고 께나는 슬피우네 대지의 여신은 인디오에게 가르쳤지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치라고...
|
El condor pasa

|
El condor pasa

|
El condor pasa

|
El condor pasa

|
|
|